푸리에 변환 테이블을 보면
이 있는데
유도를 하다보면 적분 구간에 허수가 들어가게 치환을 해야하는데 그냥 실수인 것 처럼 계산을 한다.
그게 가능한 이유는 다음을 보면 알 수 있다.
● Cauchy's Integral Theorm
If f(z) is analytic in a simply connected domain D, then for any closed contour C in D,
proof :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Cauchy%27s_integral_theorem 참조 |
복소평면에서 다음과 같이 직사각형 경로를 그리고 경로를 따라 적분하면 0이 되는데 C2, C4 경로 적분은 함수값이 0이 되므로(엄밀하게 증명해야 하나 생략) C1경로 적분은 -C3경로 적분과 같다.
(-C3) 경로 적분이
(C1) 경로 적분이
이므로
을 계산할 수 있다.
'Study > Mathematic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미적분학] 미적분학 문제 $\int^a_0\frac{f(x)dx}{f(x)+f(a-x)}$ (0) | 2014.05.11 |
---|---|
세 점이 이루는 삼각형의 넓이 (0) | 2014.05.04 |
[미적분학1] 쌍곡선 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기 (0) | 2012.10.01 |
[미적분학1] Orthogonal (0) | 2012.09.27 |
[2011 수능완성 적분과 통계 p20 No.5] - 적분 구간이 상수인 정적분으로 표시된 함수의 미분 (0) | 2012.06.2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