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f $\nabla \cdot \vec{F_1} = \nabla \cdot \vec{F_2}$ and $\nabla \times \vec{F_1} = \nabla \times \vec{F_2}$ over a region $D$ enclosed by the surface $S$ with outward unit normal $\vec{n}$ and that $\vec{F_1}\cdot\vec{n}=\vec{F_2}\cdot\vec{n}$ on $S$, then $\vec{F_1}=\vec{F_2}$ throughout $D$.
주의할 것은 유사한 조건인 아래와 같은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이다.
if $\nabla \cdot \vec{F_1} = \nabla \cdot \vec{F_2}$ and $\nabla \times \vec{F_1} = \nabla \times \vec{F_2}$, then $\vec{F_1}=\vec{F_2}$.
c.e. ) $\vec{F_1} - \vec{F_2} = y\hat{i} + x\hat{j}$
:: Comment ::
div와 curl이 같은 함수 또는 div와 curl의 차이가 0인 함수를 찾는 것은 어쨌든 미방을 푸는 것이다.
따라서 적분 상수가 붙게 되는데 바로 그 적분 상수는 harmonic function의 gradient인 것이다.
(harmonic function = laplacian이 0 , hence gradient harmonic function 은 div도 0, curl도 0이다.)
'Study > Meaningless Doub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전자실험] 테브낭 정리 간단한 증명 (0) | 2015.04.12 |
---|---|
[미적분학] Partial Derivatives with Constrained Variables 예제 (1) | 2015.01.22 |
[미적분학] 기울어진 타원의 넓이 : $Ax^2+Bxy+Cy^2=1$ (0) | 2015.01.20 |
[미적분학] Partial Derivatives with Constrained Variables (1) | 2014.09.28 |
[미적분학] 음함수의 미분과 음함수 적으로 정의된 함수에 관하여 주저리... (0) | 2014.09.13 |